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

겨울철 에너지 쉽고 건강하게 절약하는 법 (체감온도 높이기) 겨울이 되면, 에너지 소모가 심해지며 난방비가 급증합니다. 그 부담을 덜어내기 위해서는, 겨울철 적정 실내 온도 18~20를 유지하는 게 좋습니다. 적정 온도가 춥다고 느껴진다면, 체감온도를 높이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체감온도를 높이면서, 에너지도 아끼고 건강하게 겨울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1. 내복 내복은 체감온도를 약 3도 올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요즘에는 더 가볍고 보온효과가 뛰어난 제품이 많으므로, 체감온도를 더 효과적으로 올릴 수 있습니다. 2. 창문에 에어캡 부착 에어캡은 외풍을 차단할 수 있고, 단열 효과로 체감온도를 올릴 수 있습니다. 특히 일반 에어캡보다 두꺼운 단열 에어캡을 부착하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3. 보온 물주머니, 카펫, 방석, 양말 체감온도를 올릴 수 있는 물건은 내.. 2022. 11. 2.
프리랜서 임금체불 쉽게 해결 (문화예술인, 콘텐츠산업 종사자) 4대 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프리랜서는, 고용노동부의 지원을 받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임금체불 등의 문제가 생겼을 때, 민사 소송을 직접 진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런데 문화예술인, 콘텐츠산업 종사자의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실제 저도 어려움을 겪었을 때, 변호사 무료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습니다. 그곳은 바로,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콘텐츠공정상생센터' 입니다. 문화예술인, 콘텐츠산업 종사자라면, 메일(fair@kocca.kr)이나 전화(070-5167-3500)를 통해 불공정 계약 신고나, 임금 체불 등의 문제를 쉽게 문의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공정상생센터: 지원 내용 및 대상 1. 소송비 지원, 계약서 컨설팅 개인적으로 소송을 진행할 시, 최대 200만원까지 .. 2022. 11. 1.
정규직 비정규직 평균 임금 한눈에 보기 (2022년 6~8월 기준) 우리는 우리의 임금만큼, 다른 사람이 얼마나 버는지 알고 싶어합니다. 그래야 상대적으로 내가 얼마나 버는지, 적당한 임금을 받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통계청에서 발표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평균 임금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2022년 6~8월 기준, 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348만원, 비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188만 1천원입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159만9000원으로,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5년 연속 증가) 1.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 비교 구분 2021년 6~8월 2022년 6~8월 임금 격차 정규직 333만 6000 348만 156만 7000 비정규직 176년 9000 188만 1000 159만 9000 표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2022. 10. 28.
겨울철 난방비 가장 쉽게 절약하는 법 점점 추워지는 날씨, 난방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겨울철 난방비 부담이 적지 않은데, 난방비 절약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가장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외출시 난방을 끄지 말고 '외출 모드'로 돌리기. 온수 사용 후 수도꼭지 '냉수' 쪽으로 돌리기입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 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1. 외출시, '외출 모드' 로 돌리기 외출 시 보일러를 꺼두면, 오히려 난방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난방수를 다시 가열하기 위해 몇시간이 걸리고, 상당량의 동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아주 장시간의 외출이 아니라면, 외출 시 난방을 끄지 말고 외출 모드로 돌리는 것이 좋습니다. 2. 수도꼭지 '냉수' 쪽으로 돌리기 온수를 쓰고 수도꼭지를 온수 쪽으로 그대로 둔다면, 물을 가열하기 위해 불필요한.. 2022. 10. 28.
동절기 코로나 백신 접종, 성인으로 확대 10월 25일 기준, 코로나 확진자가 하루 4만명을 돌파하며 다시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동절기에 확산이 더 심해질 수 있는 상황에서, 백신 추가 접종이 18세 성인으로 확대되었습니다. 10월 27일부터 예약이니, 추가 접종하실 분은 잊지 않고 꼭 예약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 지금까지 추가 접종은, 면역저하자나 60세 이상 고령층이 대상자였지만, 오늘 정부에서 18세 이상 모든 성인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동절기 접종에 사용하는 백신(2가)도, 추가 되어서 총 3종류가 되었습니다. 2. 백신 종류 및 예약일자 백신 사전예약 당일접종 예약접종 모더나 BA.1 10.27 10.27 11.07 화이자 BA.1 10.27 11.07 11.07 화이자 BA.4/5 10.27 11.14 11.14 유전자재조.. 2022. 10. 26.